머리로 떠나다

[가족을 위로한다 - 오거스터스 네이피어, 칼 휘태커]

아쿠내구 2018. 10. 11. 20:15

부모와 자녀, 여러 관계 속에 일어날 수 있는 일들을 이해할 수 있었다.

가족의 문제들을 끄집어내기 위해 저자는 가족치료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가족 구성원의 알콜중독, 분노와 우울, 정신병 등은 개인의 문제가 아니라 관계의 문제. 갈등을 덮기 위한 희생양일 수 있다는 것이다. 또한 2명의 치료자가 참여하는 공동치료로 균형있고 단단한 치료와 효과를 증진시킬 수 있음을 강조했다.

서로에게 솔직하지 못하고 감추려고 하지만 감춰지지 않고 느껴지는 것이 있다. 확신할 수 없어서 혼란이 오고 불안을 만들고 갈등을 만든다. 이건 가족뿐 아니라 친구나 동료와의 관계에서도 경험한다.

부부의 문제는 각자 부모의 영향일 가능성이 크고, 자녀를 끌어들여 고통을 겪게한다는 것. 이를 '삼각화'라고 한다.
가족은 함께하지만 너무 서로를 의지하는 것이 문제를 크게 만든다. 가족의 만족을 위해 자신답게 살지 못하고 각자의 개성과 자율을 위협한다. 결국 나를 잃을 거라는 두려움을 파괴적인 형태로 나타내고 고통 속에 몰아놓는다. 누가 누구를 그렇게 만든 것이 아니라 서로 암묵적 동의가 있었음을 설명한다.
그리고 부부는 각자 부모와의 갈등을 떠올리고 배우자에게 부모를 투영하면서 성생활까지 문제가 생겨버릴 수 있다고.

결국 각자가 부모로부터, 배우자로부터 독립하면서 친밀해야한다. 상대가 그래서 그랬다가 아니라, 나는 이런 일에 이렇다라고 대화하고, 스스로 방법을 찾아나간다. 서로 간섭이 아니라 관심과 응원이 필요하다.



106 다정한 인사말을 건네긴 했지만 신체접촉이 불편했는지 몸이 살짝 굳어졌다. 아들은 어머니의 비언어적인 거부를 감지하고 뒤로 물러섰다.
.....
이중구속(double bind)이란 두 개의 상반된 메세지에 갇혔다는 것을 의미한다. 아들이 어머니의 따뜻한 언어적 메세지에 반응하려면 차가운 비언적 메세지를 무시해야 했다. 비언어적 메세지를 반응하려 하면 어머니가 자신이 그런 메세지를 보낸 사실을 부정했다. 모자는 모순에 빠지고 아들은 어머니와 갈등을 일으킬 만한 반응을 할 수밖에 없었다.

137 언어는 의사소통의 주요 수단이지만, 또한 감정을 숨기거나 속이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침묵이 흐르는 동안 가족은 그동안 직면하기 두려워했던 감정들을 더 분명하게 느꼈다.

188 .. 강인하고 독립적인 인간이 될수록 친밀하고 가까운 관계를 맺을 수 있고 친밀감을 느낄수록 더 독립적일 수 있다.